- 그-한 사전

헬라어(고대 그리스어, 희랍어)-한국어-영어 사전 Language

ἄρτιος?

1/2군 변화 형용사; 자동번역 로마알파벳 전사: artios 고전 발음: [띠오] 신약 발음: [띠오]

기본형: ἄρτιος ἀρτία ἄρτιον

형태분석: ἀρτι (어간) + ος (어미)

어원: ἄρτι

  1. 완전한, 완벽한, 전체의, 완성된, 어울리는, 적합한, 적절한
  2. 준비된, 채비된, 열망하는
  1. complete, perfect, suitable, exactly fitted, full-grown, sound of body and mind
  2. prepared, ready

곡용 정보

1/2군 변화
남성 여성 중성
단수주격 ἄρτιος

완전한 (이)가

ἀρτία

완전한 (이)가

ἄρτιον

완전한 (것)가

속격 ἀρτίου

완전한 (이)의

ἀρτίας

완전한 (이)의

ἀρτίου

완전한 (것)의

여격 ἀρτίῳ

완전한 (이)에게

ἀρτίᾳ

완전한 (이)에게

ἀρτίῳ

완전한 (것)에게

대격 ἄρτιον

완전한 (이)를

ἀρτίαν

완전한 (이)를

ἄρτιον

완전한 (것)를

호격 ἄρτιε

완전한 (이)야

ἀρτία

완전한 (이)야

ἄρτιον

완전한 (것)야

쌍수주/대/호 ἀρτίω

완전한 (이)들이

ἀρτία

완전한 (이)들이

ἀρτίω

완전한 (것)들이

속/여 ἀρτίοιν

완전한 (이)들의

ἀρτίαιν

완전한 (이)들의

ἀρτίοιν

완전한 (것)들의

복수주격 ἄρτιοι

완전한 (이)들이

ἀρτίαι

완전한 (이)들이

ἄρτια

완전한 (것)들이

속격 ἀρτίων

완전한 (이)들의

ἀρτιῶν

완전한 (이)들의

ἀρτίων

완전한 (것)들의

여격 ἀρτίοις

완전한 (이)들에게

ἀρτίαις

완전한 (이)들에게

ἀρτίοις

완전한 (것)들에게

대격 ἀρτίους

완전한 (이)들을

ἀρτίας

완전한 (이)들을

ἄρτια

완전한 (것)들을

호격 ἄρτιοι

완전한 (이)들아

ἀρτίαι

완전한 (이)들아

ἄρτια

완전한 (것)들아

원급 비교급 최상급
형용사 ἄρτιος

ἀρτίου

완전한 (이)의

ἀρτιώτερος

ἀρτιωτέρου

더 완전한 (이)의

ἀρτιώτατος

ἀρτιωτάτου

가장 완전한 (이)의

부사 ἀρτίως

ἀρτιώτερον

ἀρτιώτατα

위에 제시된 변화형은 규칙에 따라 생성된 것이며 일부 형태는 실제 사용여부가 입증되지 않았으니,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현재 일부 변화형의 강세가 잘못 표기되는 오류가 있어 수정 중에 있으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예문

  • "ἄρτιος μὲν γὰρ οὐδεὶς ἀρτίῳ συνελθὼν περισσὸν παρέσχεν οὐδ ἐξέβη τὸ οἰκεῖον ὑπ ἀσθενείας ἄγονος ὢν ἑτέρου καὶ ἀτελής περισσοὶ δὲ μιγνύμενοι περισσοῖς ἀρτίους πολλοὺς διὰ τὸ πάντῃ γόνιμον ἀποτελοῦσι. (Plutarch, De E apud Delphos, section 87)

    (플루타르코스, De E apud Delphos, section 87)

  • ὧν ζ χορδαῖς ἑκάστης περαινομένης εἰκότως φάναι ψάλλειν αὐτὸν κ χορδαῖς, τῷ ἀρτίῳ χρησάμενον ἀριθμῷ τὴν μίαν ἀφελόντα. (Athenaeus, The Deipnosophists, Book 14, book 14, chapter 37 1:2)

    (아테나이오스, The Deipnosophists, Book 14, book 14, chapter 37 1:2)

  • λέγουσι γὰρ ἐν ἀρτίῳ μέτρῳ % ἕκτῳ καὶ πεντηκοστῷ γεγονέναι Τυφῶνα: (Plutarch, De Iside et Osiride, section 30 6:2)

    (플루타르코스, De Iside et Osiride, section 30 6:2)

  • ὃ τοίνυν ἔλεγον ὁρίσασθαι, ποῖα οὐκ ἐναντία τινὶ ὄντα ὅμως οὐ δέχεται αὐτό, τὸ ἐναντίον - οἱο῀ν νῦν ἡ τριὰς τῷ ἀρτίῳ οὐκ οὖσα ἐναντία οὐδέν τι μᾶλλον αὐτὸ δέχεται, τὸ γὰρ ἐναντίον ἀεὶ αὐτῷ ἐπιφέρει, καὶ ἡ δυὰς τῷ περιττῷ καὶ τὸ πῦρ τῷ ψυχρῷ καὶ ἄλλα πάμπολλα - ἀλλ ὁρ´α δὴ εἰ οὕτως ὁρίζῃ, μὴ μόνον τὸ ἐναντίον τὸ ἐναντίον μὴ δέχεσθαι, ἀλλὰ καὶ ἐκεῖνο, ὃ ἂν ἐπιφέρῃ τι ἐναντίον ἐκείνῳ, ἐφ ὅτι ἂν αὐτὸ ἰῄ, αὐτὸ τὸ ἐπιφέρον τὴν τοῦ ἐπιφερομένου ἐναντιότητα μηδέποτε δέξασθαι. (Plato, Euthyphro, Apology, Crito, Phaedo, 797:1)

    (플라톤, Euthyphro, Apology, Crito, Phaedo, 797:1)

  • ἐπὶ τῷ ἀρτίῳ τριμέτρῳ δίμετρον ἀπὸ τοῦ ὑπορχηματικοῦ πενταμέτρου Μνασάλκεος τὸ σᾶμα τῶ Πλαταϊ´δα, τῶ λεγῃοποιῶ: (Unknown, Greek Anthology, Volume V, book 13, chapter 211)

    (작자 미상, Greek Anthology, Volume V, book 13, chapter 211)

유의어

  1. 준비된

관련어

명사

형용사

부사

유사 형태

출처: Wiktionary 고전 그리스어 단어 목록

이 단어를 Wiktionary에서 찾기

SEARCH

MENU NAVIGATION